posted by 싸구려 이어폰 2013. 1. 4. 15:51

 

 

 겨울특집 2번째 북유럽 문화강국 3국 중 마지막 나라인 휘바~ 휘바~ 핀란드 나라 대한 문화 및 음악들을 소개합니다.

 


북유럽 문화강국 ① 노르웨이 노르웨이 숲 말고 다른 것도 있다!


북유럽 문화강국 ② 스웨덴 스웨덴 음악?은 ABBA 전 후로 나뉜다


북유럽 문화강국 ③ 핀란드에 가면 산타도 있고~ 자일리톨 나무도 있고~
 
1.핀란드 간략 소개


   핀란드에 가면 산타마을 라플란드 지역에 크리스마스 에만 바쁜 산타클로스도 있고 , 치아건강을 챙겨주는 자일리톨도 있고, 휴대폰 제조회사인 유명한 노키아 기업도 있고, 핀란드 교육방식은 세계적으로 유명하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메탈 매니아들에겐 약속의 땅 이라고 불리울정도로 메탈 음악의 천국 입니다. 


- 선물 주는게 아니라 강탈하러 갈 것 같은 산타 (그냥 산타 모자만 쓴 사람이에요)

 

  국토의 대부분은 평탄한 지형으로 빙하에 깎여 형성된 호수가 무수히 흩어져 있어 호수와 섬이 많고 국토의 4분의 1 정도는 북극권에 있어 최북단 지역은 여름에는 밤에 어두워지지 않는 백야 현상이 일어 납니다. 

 


 아무튼 어린아이들에게 동심을 심어주고 메탈 팬들에게는 좋은 음악 들려주고 평등한  교육방식을 통하여 한명의 낙오자 없이 이끌어주고 복지가 잘되었지만 겨울이 길고, 밤이 긴 날이 많아 자살율도 한때는 OECD국가 1위 차지했지만 지금은 줄어드는 추세 그 곳은 바로 핀란드 라는 곳입니다.  세금과 물가 빼고는 제가 살고싶은 나라의 조건과 일치하네요. 


2.핀란드는 메탈이 대세

  

  왠만한 락 음악 매니아들은 북유럽 국가들은 메탈 음악에 대한 활성화가 크며 특히 핀란드가 가장 큰 중심축 이라고 인지하고 있습니다.  모든 메탈 음악들은 헤비메탈 혹은 하드록 으로 크게 통합된 장르 로써 분류되어 있으나 각 밴드마다 가지고 있는 컨셉, 추구하는 음악 스타일 따라 여러가지 갈래로 나뉩니다.  그 중 눈에 띄는 핀란드 메탈 밴드 소개 및 활성화된 깊이가 어느정도 인지를 소개 합니다. 

 

한국에서는 '농민메탈'로 알려진 포크 메탈 음악 Korpiklaani



 Korpiklaani 는 기본 락 밴드 포지션(드럼,베이스,기타,보컬)에 추가로 비올라 아코디언 파트 담당까지 포함되어 있어 포크 음악에 헤비메탈을 접목하여 일명 포크 메탈 이라는 것을 추구하며 대부분 술과 파티 관련 내용의 가사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Korpiklaani - Vodka

 

 남자 중에 남자 상 남자 스타일의 전사 컨셉 바이킹 메탈음악  Turisas


 한눈에 봐도 컨셉이 뭔지 알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참고로 이 밴드에는 여전사 한명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들의 악기 파트 구성은 바이올린, 아코디언, 타악기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위의 Korpiklaani 와 비슷하지만 술판 벌이고 놀고 먹자는 형식의 쿵짝 쿵짝 리듬과 달리 '나가자' '싸우자' '이기자' 정신의 공격적이면서 웅장한 사운드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turisas - stand up and fight

 

 아이들 취향에 맞추어서 어린이용 메탈밴드 등장 HeviSaurus

- 놀이공원까지 접수하신 HeviSaurus

 

  이정도면 확실히 그 활성화 깊이가 어디까지인지 아실겁니다.  메탈음악 자체가 거칠고 쉽게 귀에 맞지 않은 음악이지만 이런 컨셉의 메탈까지 나올줄은 상상도 못했으며 그들의 창작에 대해 박수를 보내지 않을수 없습니다. 이 밴드는 파워레인져 같은 불특정 사람이 맡은게 아닌 자국 내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뮤지션들이 락커 스타일의 공룡인형 탈을 쓰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단순히 컨셉이 아닌 어린이들의 좋아하는 최적의 조건에 딱 맞추어서 공연장 데시벨 볼륨도 아이들 수준으로 조절 하고 가사들도 아이들 수준으로 맞게 구성 되어 있습니다.(그래, 이런 유치찬란 오글거리는 동요따윈 개나 줘버려!)

 

Hevisaurus - Jee Hevisaurus

 

첼로 악기로 헤비메탈 다운 음악을 만들다 Apocalyptica

-첼로 악기들고 헤드뱅잉 하는건 처음봅니다.

 

  첼로 3인방 이들은 시벨리우스 음악 아카데미 출신 입니다. (초기 멤버는 4명 이었으나 현재는 첼로 3인 + 드러머 1명) 1993년 apcocalyptica 이름의 밴드를 결성 1996년 이들의 첫 앨범이 발매되었는데 첫 앨범명 Plays Metallica By Four Cellos 입니다.  앨범명 그대로 첼로 라는 악기만 가지고 메탈리카의 명곡들을 연주를 하였으나 클래식한 느낌이 아닌 메탈리카 특유의 날카롭고 헤비한 사운드의 느낌을 첼로 악기만의 장점을 최대한 끌어내 원곡의 느낌을 소화해냈습니다.  참고로 2011년 메탈리카 와 함께 라이브 공연도 했답니다.  이들의 추구하는 음악 스타일은 단순히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장르의 폭을 넓혀 좀 더 다양한 음악들을 들려주는 것 이어서 계속 발전하는 그들에게 매우 기대가 됩니다. 


Apocalyptica - Not Strong Enough

 

헤비메탈 스타일에 웅장한 심포닉 결합한 핀란드 국민밴드 Nightwish 



 

 핀란드 내 인기있는 메탈 밴드 중에서 단연 최고라고 불리는 nightwish. 이들의 인기가 어느정도 이면 밴드 데뷔 후 11년간 앨범 내면서 약 10~20만장 이상 판매고 올리고  단 한번도 음반 차트 1위자리를 달성 못한 적이 없을 정도 입니다.  이들의 음악은 밴드 리더 Holopainen는 클래식 보컬 교사 Tarja에게 nightwih 데모 녹음 부탁했고 오페라 음성이 본인이 추구하는 음악과 잘 맞게 될것 같다는 것을 알게 되어 오페라 보컬 형식의 록 음악 밴드를 결성.  대중들은 신선한 음악에 매료되고  보컬 교체 후 그전보다 더욱 심포닉 요소가 더 강해진 음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nightwish - dark chest of wonders


(위의 영상에서 나온 보컬은 해고. 현재 사진에 나와있는 보컬멤버로 교체 되었음)

3.문화 예술 교육에 대한 인식이 문화 강대국으로 만들었다

 

핀란드 교육은 누구나 균등하게 배울수 있는 기회를 준다.

핀란드 교육은 서로 협력을 우선시 하여 경쟁이 없다.

핀란드 교육은 교육비가 저렴하다.

핀란드 교육은 적어도 0교시 야간자습 따위의 강요학습은 없다.


  핀란드 내에서는 문화 예술 교육은 교육 과정에서 가장 필수적인 요소 라고 합니다.

  그럼 왜 필수요소가 되었을까요?  문화 예술은 단순히 배워서 써먹는 교육 인식이 아닌 창의인성교육 으로서의 문화 예술 교육을 인식이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핀란드 도심지역과 먼 곳에서도 수준 높은 음악교실이 있으며 학생들이 어떻해서든 배울수 있도록 지원을 해주니 적어도 핀란드 내에서 경제적 여건 때문에 음악 못 배웠다는 이야기하면  말도 안되는 일이라고 생각할겁니다. 


 

  그러면 핀란드가 이토록 음악에 아낌없이 지원하고 국민들은 왜 음악이 생활의 일부가 되었을까요? 

 

  핀란드 음악의 힘을 전 세계에 알린 작곡가 장 시벨리우스의 영향 입니다.

 서양음악의 큰 발전을 시킨 음악의 아버지는 바흐가 있다면  핀란드의 음악을 세계에 알리고 핀란드를 음악 강대국으로 만든 핀란드 음악의 아버지 시벨리우스가 있습니다.

 1899년 발표한 시벨리우스가 만든 교향시 ‘핀란디아’는 당시 러시아 제국의해 억압받던 시절 언론검열에 저항하는 언론사 기념 행사에서 쓰인 곡 입니다.


   이 음악이 제 2의 핀란드 애국가라고 불리는건  핀란드 만의 특유 멜로디와 리듬으로 중점하여 사람들의 맘을 움직였던 곡이라서 더욱 애착이 강한 이유인듯 합니다.  우리나라로 치면 일제치하을 받던 사람들에게 희망과 민족의 혼이 담긴 '아리랑'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개인적인 곡 느낌은  억압 속에서 국민들에게 끌어오르는 투쟁심을 불러 일으키며 다같이 들고 일어나 당당하게 맞서 싸워 음악의 마무리 부분에는 전체적으로 격한 사운드 진행되면서 승리의 대한 큰 피날레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느낌이 듭니다.  이 곡은 나중에 핀란드 시인 Veikko Antero Koskenniemi이란 분이  핀란디아 곡에서 서정적인 부분을 인용하여 가사를 직접 작사하여 핀란디아 찬송가로 재탄생 하였습니다.   


- 화폐에 나올정도면 큰 영향을 주었는지 알수 있겠지요?


4.못다한 이야기


▶ 오케스트라 법


1993년 제정된 오케스트라법이 있습니다. 국가나 지방정부가 악단에 간섭 대해 방지 및 오케스트라 구성하여 일정요건에 갖추어지면 법으로서 정식적인 인정을 받으며 국가 및 지방정부에서 예산을 받을수 있습니다.   참고로 핀란드의 음악적인 지원예산은 EU 연합 내 3번째라고 합니다.


▶ 책보다 음악이 1순위 핀란드 헬싱키 도서관 10


 흔히들 도서관의 이미지는 조용하게 공부하는 곳과 책을 빌리는 곳으로 많이 인식되어 왔지만 핀란드 헬싱키 지역 내 도서관 중 음반대출, 라디오 방송국, 스튜디오 시설까지 갖추어진 '도서관 10' 이라는 도서관이 있습니다.  이 도서관에서는 다양한 문화체험 프로그램, 작가와의 만남, 중앙 무대에서 소규모 콘서트 공연하면서 TV나 라디오 방영되고 시민들이 직접 스튜디오 안에서 음악을 제작할수있고 유로비전 콘테스트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전용 가라오케 까지 갖추어져 있습니다.  이정도면 핀란드 사람들 대부분이 음악은 생활의 일부 라는 말이 괜히 나온게 아니네요. 

 
참고로 '도서관 10' 의미는 우편번호가 10번지 자리잡고 있어서 도서관 '10' 입니다.


▶핀란드에도 아이돌이 엄연히 존재


약속의 땅 메탈음악의 천국 에서도 저스틴 비버 못지않은 아이돌이 있습니다. 

우연히 검색해서 알게된 robin packalen 이라는 가수입니다. 10살때 핀란드 전국경연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이력이 있으며 2012년 드디어 그의 첫 싱글 'Frontside Ollie'발매

핀란드 싱글 차트 정상까지 차지 하고 음원 순위에서도 상위권을 차지할 정도로 노래실력은 물론이고 귀여운 외모도 한몫하였다고 볼수 있습니다.  다만 2012년 첫 정규앨범 냈었지만 첫 싱글만큼의 영향은 없나보군요.


2008년 New Wave Junior Contest 에서 The Final Countdown 참가하여 부른 영상



출처 및 참고

 

기대대는 핀란드의 아이돌 Robin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rhqudtjs1234&logNo=50151967309

세계의 교육현장 - 핀란드의 예술교육
http://blog.daum.net/rlaqkqqn/15132005

핀란드의 시벨리우스
http://www.ilsongmedia.com/wizboard.php?BID=lesson4&GID=root&category=&mode=view&UID=22&CURRENT_PAGE=1


핀란드 10 도서관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ihyoppo&logNo=30084406590&viewDate=&currentPage=1&listtype=0


문화예술교육, 유년시절부터


관련기사 클릭